본문 바로가기
- 시리즈

Disney+ 드라마 '조명가게' - 등장인물, 줄거리, 원작 정보, OST 정보, 결말 해석

by 유니별:) 2025. 6. 29.
반응형

Disney+ 드라마 '조명가게' - 빛이 닿는 곳, 죽음은 끝이 아니라 위로였다

Disney+ 드라마 '조명가게' 포스터
Disney+ 드라마 '조명가게' 포스터

 

Disney+ 시리즈 '조명가게'어두운 골목 끝을 밝히는 유일한 곳 ‘조명가게’에 어딘가 수상한 비밀을 가진 손님들이 찾아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미스터리, 호러, 심리 스릴러입니다. 디즈니플러스 오리지널 시리즈 '조명가게'는 강풀 작가의 동명 웹툰을 원작으로, 의문의 조명가게를 중심으로 산 자와 죽은 자들의 이야기가 교차하는 미스터리 스릴러입니다. "이승과 저승의 중간 지대"라는 독특한 설정을 바탕으로, 평범한 우리 이웃들의 숨겨진 사연과 삶의 마지막 순간을 조명하며 시청자들에게 소름 돋는 공포와 가슴 저린 감동을 동시에 선사했습니다. 이하에서는 Disney+ 드라마 '조명가게'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본 정보

  • 제목: 조명가게
  • 플랫폼: 디즈니플러스 (Disney+)
  • 공개일: 2024년 12월 4일
  • 연출: 김희원 (배우 출신, 드라마 연출 데뷔작) 
  • 극본: 강풀
  • 원작: 강풀 작가의 동명 웹툰
  • 제작사: 미스터로맨스
  • 총 편수: 8부작
  • 장르: 미스터리, 스릴러, 호러, 휴먼, 드라마
  •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2. 등장인물

  • 정원영(주지훈): 365일, 24시간 꺼지지 않는 ‘조명가게’를 지키는 주인이자 이승과 저승의 경계에서 손님을 맞이하는 미스터리한 인물입니다.
  • 권영지(박보영): 대학병원 8층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환자들의 회복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병동에서 일어나는 미스터리한 상황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 이지영(김설현): 항상 캐리어를 끌고 다니며 누군가를 기다리는 미스터리한 인물입니다.
  • 그 외의 인물들: 배성우·엄태구·이정은·김민하 등 조연진이 각자의 사연을 지닌 손님으로 등장하며,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서 있는 다양한 인물 군상을 보여줍니다.

 

3. 줄거리(결말포함)

*이하에서는 드라마의 결말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주의 바랍니다*

이야기는 수상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한 외진 동네를 배경으로 시작됩니다. 이 동네 사람들은 모두 어딘가 위태로워 보이며, 이들의 삶은 모두 골목 끝에 위치한 '조명가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조명가게 주인은 손님들에게 "전구는 조심히 다루라"는 의미심장한 경고를 반복합니다. 드라마가 진행되면서 이 동네 사람들의 충격적인 비밀이 밝혀집니다. 

현민은 한밤중에 버스를 타고 귀가하는데 캐리어를 가지고 버스정류장에 앉아있는 미스터리한 여자 지영을 매번 만나게 되면서 그녀가 궁금해집니다. 그녀의 손바닥에 손톱이 달려있는 이상한 점이 있었습니다. 사실 이승에서 현민은 지영과 연인사이였습니다. 그러나 현민의 부모님의 반대에도 두 사람은 동거를 시작해 같이 살게 되고 현민의 퇴근시간에 맞춰 버스 정류장에서 기다립니다. 그러나 버스 사고가 나면서 현민은 병원 중환자 실에 입원하게 되고 병원으로 간 지영은 현민의 어머니가 그녀 때문에 현민이 죽었다며 원망하는 말을 듣게 됩니다. 지영은 집으로 돌아와 현민의 죽음을 자책하며 자살을 시도합니다. 그러나 현민의 아버지에게 문자가 오는데 현민이 아직 살아있다는 문자 메세지를 받습니다. 그러나 이미 발판이 넘어지면서 지영은 죽게 되어 저승에 있게 된 것입니다. 현민은 아직 살아있다는 사실을 알고 그를 이승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노력합니다.

한편,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인 권영지는 의식 없는 환자들이 겪는 미스터리한 현상들을 마주하며, 그들이 이승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음악을 들려주며 응원하는 조력자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여고생 현주는 집에 전구가 자꾸 나가서 엄마 심부름으로 조명가게에 자주오는 손님입니다. 현주 역시 버스 사고의 피해자였고 사고 순간 현주를 껴안은 현주 어머님 덕분에 목숨은 건졌으나 혼수상태에 빠지게 된 것이었습니다. 현주 어머니는 현주를 조명가게로 보내 현실 세계로 돌려보내려고 한 것입니다. 그리고 윤선해는 저렴한 자취방을 구해 들어왔으나 미스터리한 현상을 겪는 인물입니다. 그녀 또한 버스 사고의 피해자였고 현실에서 사랑하는 사이였던 언니가 죽었음을 알게 되고 언니와 함께 하기 위해 자신의 전구를 깨트려 죽음을 선택하게 됩니다.

지웅은 밤마다 지름길이라는 이유로 조명없는 골목을 김광석의 '바람이 불어오는 곳'을 부르며 뛰어갑니다. 지웅은 버스 사고의 원인이었던 냉동 탑차 운전자의 도움으로 조명가게에 도착하면서 지웅은 중환자실에서 깨어나게 됩니다.

그들은 모두 이미 죽었지만, 죽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이승에 머물고 있는 '귀(鬼)'의 상태인 것입니다. 이들이 사는 동네는 이승과 저승의 경계이며, 조명가게에서 파는 전구는 이들이 이승에 머물 수 있게 해주는 마지막 생명력(영혼)을 상징합니다. 다만 전구를 가지고 이승으로 가기 위해서는 본인의 의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각 에피소드는 조명가게를 찾는 인물들이 왜 죽음에 이르게 되었고, 어떤 상처와 후회 때문에 이승을 떠나지 못하는지를 애틋하게 보여줍니다. 결국 모든 인물들은 각자의 후회와 상처를 마주하고, 전구를 가지고 이승으로 돌아오거나,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하기 위해 전구를 깨고 저승을 택하기도 합니다. 마지막에 이르러, 조명가게 주인인 원영의 비밀이 밝혀집니다. 원영 역시 과거에 가족과 함께 행복한 삶을 살고 있었으나, 건물 붕괴 사고로 죽을 위기에서, 이전 조명가게의 주인을 만났고 이전 조명가게 주인과의 거래로 조명가게를 이끌어가게 된 것입니다. 에 딸(유희, 현주의 어머니)과 마주하고 눈물을 흘리며 재회합니다.

그리고 형사 양성식(배성우)은 최근 벌어지는 살인 사건을 추척하던 중 용의자를 찾아 국수가게로 가게 되는데 국수가게의 주인은 사람이 아닌 수명이 다한 사람을 데리고 가는 저승사자 역할을 하는 인물이었습니다. 양성식은 그 능력을 이어받게 됩니다.

 

5. 원작과 드라마의 비교

  • 장르적 톤: 웹툰은 단편적, 섬뜩한 공포미 중심이었다면, 드라마는 미스터리 · 심리 스릴러 요소와 인간 군상 서사를 풍부하게 확장했습니다.
  • 캐릭터 추가: 드라마에는 원작에 없던 조연 캐릭터가 새로 추가되어 이야기의 밀도와 범위를 넓혔습니다.
  • 시각 연출: 원작에서는 독자 상상에 의존하던 불안감이나 공포는, 화면 속 조명·음향·공간 연출을 통해 시청자가 직관적으로 체험하게 디자인되었습니다.
  • 서사 깊이 강화: 원작의 단편 에피소드들이 드라마에서는 하나의 통합된 세계관으로 재구성되며, 인물 간 관계와 감정의 연결성이 강조되었습니다.

 

6. 결말 해석

'조명가게' 이승과 저승 사이의 '중간 지대'이자, 상처 입은 영혼들이 마지막 위로를 받는 '치유의 공간'을 상징합니다. 과거의 비극으로 그 경계에 남은 사장 정원영은 타인의 마지막을 비춰 주는 관리인이 되었고, 한 버스 사고로 얽힌 인물들은 각자의 전구 앞에서 돌아갈지 떠날지를 스스로 결정합니다. 공포의 외피를 썼지만, 그 속에는 삶과 죽음, 그리고 남겨진 사람들에 대한 가장 따뜻한 위로가 담겨있는 것입니다.

 

7. 결론

'조명가게'는 한국 장르 드라마의 다변화와 성숙을 상징하는 작품입니다. 강풀의 감성적 문학성과 디즈니+의 글로벌 제작력이 결합하여, 죽음을 소재로 하면서도 삶을 이야기하는 드라마를 완성하였습니다. 이 작품은 폭력적 서사도, 자극적 클라이맥스도 없습니다. 그 대신, ‘빛’과 ‘대화’라는 소박한 매개로 가장 인간적인 이야기를 꺼내놓습니다.

공포를 기대했던 시청자에게는 다소 느리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삶과 죽음을 감정적으로 마주하려는 이들에게는 충분히 위로가 되는 드라마입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Disney+ 드라마 '조명가게' 아직 안 보셨다면 추천합니다.

 

 

※ 무빙, 분석글 보러가기!

 

Disney+ 드라마 '무빙' - 등장인물, 줄거리, 강풀 유니버스, OST 정보, 결말 해석

Disney+ 드라마 '무빙' - 한국형 초능력 드라마 Disney+ 드라마 『무빙』은 한국형 히어로 장르로 강풀 작가의 웹툰을 원작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단순한 초능력 액션물에 그치지 않고, 부모 세대와

yunistar.com

 

728x90